p5js 친절한 오류 메시지 세계화 가이드북 (p5js Friendly Errors i18n Book)은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. 깃헙의 계정이 있으신 분들은 누구든 책 웹사이트 코드를 열어보고, 내용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.
책 웹사이트: https://almchung.github.io/p5-fes-i18n-book/
Repo(코드가 살고 있는 곳): https://github.com/almchung/p5-fes-i18n-book
Github 계정을 만드신 후 아래 단계를 따라 코드를 수정해보세요.
바뀐 코드는 관리자의 감수 과정을 거친 후 적용되니 안심하세요!
우리 책의 리포(Repo, repository) ‣ 로 갑니다.
리포 이름 옆에 있는 포크(Fork) 버튼을 누릅니다. (이 예제에서는 다른 프로젝트 스샷들을 쓰고 있으니 프로젝트 명이 달라도 양해 부탁드립니다.)
본 줄기에서 갈라져나온 복제본 가지, 포크를 만듭니다. 내 사용자명이 올바르게 떠있는지 체크하고, 필요하다면 새로 만들어질 복제본의 이름을 바꿔줍니다. 그리고 추가 설명을 Description에 적을 수 있으나, 이는 선택 사항입니다. 준비가 되면 Create Fork 녹색 버튼을 눌러 다음 단계로 갑니다.
잠시 로딩 화면이 뜨고, 내 계정 아래 새로운 리포가 보이면 복제 성공입니다! 이제 본격적으로 코드를 고쳐볼까요?
리포의 파일 탐색기(navigation) UI에서 수정을 원하시는 파일을 찾습니다. 여기서는 index.html을 고쳐볼게요.
README.md 파일을 누르면 해당 파일의 소스코드를 웹브라우져에서 열람할 수 있습니다. 코드를 확인 후, 코드 우측 상단에 있는 연필 아이콘(수정) 버튼을 찾습니다.
편집 화면입니다. 파일 이름과 코드를 브라우져에서 편집하실 수 있습니다. (중간 세이브가 없는 점 유의 바랍니다! 사실 브라우져 편집창에서 작업을 직업하시는 것 보다는, 자동 세이브를 제공하는 다른 곳에서 작업하신 후 붙여넣기를 추천드립니다.)
작업이 끝나시면, 코드 아래에 있는 Commit changes 창을 찾습니다. 윗줄에는 어떤 작업을 했는지 한 줄로 간략하게 작성합니다. 아래는 추가 내용을 쓰는 선택 항목칸으로, 그냥 빈칸으로 두시면 됩니다.
그 아래에 두가지 옵션이 보이실거에요. Commit directly to the main(master) branch
는 원래 만들어두신 리포에 지금 바꾼 내용을 적용한다는 뜻이고, Create a new branch for this commit and start a pull request
는 바뀐 내용으로 또 새로운 가지를 만들어서 감수 과정을 진행한다는 뜻입니다. 이 경우 저희는 첫번째 옵션으로 진행하겠습니다.

Commit changes 버튼을 누르면 코드 변경이 적용되고 리포 메인 화면이 다시 뜹니다. 이런 변경 작업 결과물을 세이브하는 것을 commit이라고 하는데요, 예전 commit들은 이 History 항목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.
중간 중간 commit을 하시면서 작업을 진행합니다. 그리고 드디어 웹사이트에 적용할 순서가 되었습니다. 마지막 commit을 마무리 하시고 리포 메인 화면으로 오셔서 Pull Request 탭을 누릅니다. New pull request라는 녹색 버튼을 찾으셔서 누릅니다.